FlowerCrab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FlowerCrab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4)
    • trip in Korea (0)
      • Jeju (0)
    • 부동산 (12)
      • 기본개념 (9)
      • 실전투자 (3)
    • IT (2)
      • Oracle Cloud Infrastructure (2)

검색 레이어

FlowerCrab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5분만에 알아보자! - 대출한도 (LTV DTI DSR)

    2024.01.22 by 빵둥이

  • 5분만에 알아보자! - 다세대와 다가구

    2024.01.18 by 빵둥이

  • 5분만에 알아보자! - 나는 1세대 1주택인가?

    2024.01.17 by 빵둥이

  • (공동소유) 소유권이전 셀프등기 이거 하나면 됩니다.

    2024.01.16 by 빵둥이

  • 5분만에 알아보자! - 용적률

    2024.01.15 by 빵둥이

  • 5분만에 알아보자! - 건폐율

    2024.01.08 by 빵둥이

5분만에 알아보자! - 대출한도 (LTV DTI DSR)

1. 대출한도를 정하는 기준 - "LTV"와 "DTI"는 항상 붙어다닙니다. 이래서 주위에 이 두가지 단어의 뜻을 햇갈려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두가지 모두 집을 살 때 대출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느냐?에 대한 기준입니다. 2. LTV(Loan To Value ratio) - "집값의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느냐?" 입니다. - LTV 70% 라고 하면 쉽게, 시세(또는 감정가) 10억원 아파트에 대해 70%, 즉 7억까지 대출을 해준다는 의미 입니다. (사실 더 자세히 말씀드리면 대출한도 7억에서 최우선변제 소액임차보증금을 제합니다.) - 은행의 입장에서 생각해볼까요? 은행은 대출신청자의 집을 담보로 대출을 해주는 것입니다. 은행의 입장에서는 대출자가 이자를 연체하거나, 만기 시 상환을 못하는 상황에 대비..

부동산/기본개념 2024. 1. 22. 00:35

5분만에 알아보자! - 다세대와 다가구

주택의 종류 단독주택은 1인 소유, 가구별 등기 불가라는 것은 다가구(흔히 원룸 건물) 건물 가지고 있다면 그 안에 원룸이 10개라도 1주택으로 산정합니다. 공동주택(빌라, 다세대, 연립 등)에서 세대별 등기가능하다는 것은 각 세대별 1주택씩으로 계산한다는 의미 입니다. 1. 단독주택 1) 단독주택 : 아파트가 보편화되기 전에 가장 많이 살던 주택 유형. 주인은 한명만 인정됩니다. 즉 1인소유이고 가구별 등기가 안됩니다. 1가구가 거주합니다. 2) 다가구 주택 : 원룸 생각하시면 됩니다. 건물 전체가 1인소유이고 거주가구는 19가구 이하 입니다. 원룸은 각 호별로 세를 줄 수는 있지만 별도 매매를 할 수 없습니다.(1인 소유!) 3) 상가주택 : 또는 "점포겸용단독주택" 이라고 합니다. 1층이나 2층에 ..

부동산/기본개념 2024. 1. 18. 23:07

5분만에 알아보자! - 나는 1세대 1주택인가?

세금에선 같은 집에 거주하는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를 의미합니다. 단 배우자는 따로 살더라도 동일한 세대로 판단됩니다. (주민등록주소 무관) - 그러므로 거주주소를 다른 곳으로 하더라도 실제 같은 집에서 생활한다면 같은 세대라고 봅니다. 독립세대를 구성하는 방법 결혼을 해야합니다. - 독립세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결혼을 해야 합니다. - 다행히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결혼을 하지 않았더라도 혹은 독신자라도 독립세대 구성이 가능합니다. 1) 당해 거주자의 연령이 30세 이상인 경우 2) 소득이 최저생계비 수준 이상으로서 주택 또는 토지를 소유, 관리 유지하면서 독립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 3) 배우자가 사망하거나 이혼한 경우 - 예를 들어 30세 미만의 미혼의 아들이 회사에 다니고 부모님과 ..

부동산/기본개념 2024. 1. 17. 21:12

(공동소유) 소유권이전 셀프등기 이거 하나면 됩니다.

소유권이전 등기 짧게는 하루 전 여유있게 하고, 최대한 인터넷을 활용하고 편한 동선으로 안전하게 할 수 있게 정리했습니다. * 조건 : 매도자 개인소유, 매수자 공동명의 공시지가 178,000,000원 매매금액 330,000,000원(59㎡) 1. 준비물 서류 발급처 부수 사전준비 가능 비고 또는 주의사항 주민등록등본 또는 초본 민원24 매수자 각각 가능 매수자 공동명의이므로 각각 발급 주소변동사항, 주민번호 뒷자리 표시 부동산 매매계약서 계약시 발급 원본1, 사본1 가능 토지대장등본 민원24 1 가능 건축물대장등록 민원24 1 가능 소유권이전등기신청서 인터넷등기소 작성본3, 빈양식3 가능 작성 당일에 기재할 수 있는부분 제외하고 작성 후 인쇄 오타 대비하여 안전하게 3장씩 준비 (최종 제출은 1장임) ..

부동산/실전투자 2024. 1. 16. 22:06

5분만에 알아보자! - 용적률

부동산 규제, 부동산 공급확대, 택지개발 등 기사를 보면 「용적률」이란 단어를 심심치 않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충 높으면 좋은 거라고 생각은 할 수 있습니다만 필수로 알아야 할 중요한 내용입니다. 용적률이란? - 앞서 설명드린 「건폐율」과 비교해보시면 더 이해가 빠릅니다. 건폐율은 대지 대비 건물 1층 바닥면적 비율이라고 하면 용적률은 건물 전체의 바닥면적(=연면적)을 합친 비율입니다. 연면적이라는 단어도 심심찮게 접하실 것입니다. ☞ 건폐율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세요 5분만에 알아보자! - 건폐율 (tistory.com) 5분만에 알아보자! - 건폐율 이번 글에서는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폐율은 항상 용적률과 따라 다닙니다. 둘이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국토부장관이..

부동산/기본개념 2024. 1. 15. 21:36

5분만에 알아보자! - 건폐율

이번 글에서는 「건폐율」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폐율은 항상 용적률과 따라 다닙니다. 둘이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국토부장관이 바뀌면서 주택공급을 늘린다는 취지에서 "용적률"을 높이겠다라고 하죠. 자 우선 이번에는 건폐율부터 알아 보겠습니다. 건폐율이란? - 건폐율이란 영어로 "Building coverage ratio"라고 합니다. 우리가 보통 부동산이라고 하면 대지 + 건물을 떠올리 실 것입니다. 건물은 당연히 대지 위에 짓는 것이죠. 이 대지면적 대비 건물 1층 바닥면적의 비율을 "건폐율"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보면 쉽습니다. 제가 만약 660㎡(200평)의 땅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이 땅의 건폐율이 30%로 제한되있다고 하면 저는 이 땅에 1층 면적이 최대 ..

부동산/기본개념 2024. 1. 8. 21: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FlowerCrab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